• 라즈베리파이4B 온도에 따라 쿨링팬 작동 코딩2025. 02. 15.
    오늘은 Raspberry Pi 4 Model B에 쿨링팬을 장착하고 CPU 온도가 높아지면 팬이 작동하도록 하는 Python 코드를 짜 보겠습니다. 팬은 Raspberry Pi 4 Case Fan을 사용하겠습니다.
  • ipTIME DDNS2025. 02. 01.
    DDNS를 설정하면 도메인 주소(호스트이름.iptime.org)가 공인 IP와 동일한 역할을 하게 할 수 있습니다. 심지어 공인 IP가 바뀌면 DDNS 주소가 알아서 바뀐 공인 IP에 대응되므로 편리합니다. 오늘은 ipTIME 공유기에 내장된 DDNS 기능을 사용해 보겠습니다.
  • SSH 접속 시 WARNING: REMOTE HOST IDENTIFICATION HAS CHANGED! 대처 방법2025. 01. 27.
    서버의 운영체제를 재설치하거나 서버를 교체한 후 SSH 접속이 안 되며, 터미널에서 접속 시 WARNING: REMOTE HOST IDENTIFICATION HAS CHANGED! 경고가 발생할 때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알아봅니다.
  • 라즈베리파이4B SMB(Samba) NAS 만들기2025. 01. 18.
    오늘은 Raspberry Pi 4 Model B로 NAS를 만들겠습니다. Ubuntu Server에 Samba를 설치해서 SMB 서버를 구동하겠습니다.
  • [electron-builder]NSIS(.exe)로 빌드하기2025. 01. 11.
    Electron으로 개발한 앱을 배포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? Windows PC에서 설치하기 위해 .exe 파일로 빌드해 보겠습니다. 이를 위하여 electron-builder를 사용할 것이며, NSIS 타깃으로 하겠습니다.
  • Electron 개발 환경 구축 및 개발2025. 01. 04.
    Electron이라는 프레임워크를 사용하면 HTML, CSS, JavaScript를 사용하여 웹 개발하듯이 PC용 응용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습니다. 오늘은 Electron 개발 환경을 구축하고 기초적인 개발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.
  • TypeScript 코드에서 JavaScript 모듈 import하기2024. 11. 23.
    TypeScript 코딩을 하다 보면 JavaScript로 만든 모듈을 쓰고 싶을 때가 있을 것입니다. 오늘은 TypeScript 코드에서 JavaScript 모듈을 import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.
  • TypeScript DOM2024. 11. 16.
    JavaScript로 HTML의 요소를 수정할 때는 HTML DOM을 이용합니다. 여러분이 보고 계신 이 블로그의 왼쪽 상단 메뉴 버튼도 HTML DOM으로 구현되었죠. 오늘은 TypeScript에서 HTML DOM을 사용할 때 타입 관련 부분을 어떻게 처리해야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.
  • [JSDoc]JavaScript 주석을 효율적으로 다는 방법2024. 11. 09.
    TypeScript를 사용하면 JavaScript와 달리 타입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컴파일을 해야 한다는 불편이 있습니다. 따라서 JavaScript만으로 해결하고 싶을 수 있는데요, 주석을 사용하여 타입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. 이 방법을 JSDoc이라고 합니다. JSDoc으로 타입을 지정하면 강제성은 없지만 타입 힌트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, Visual Studio Code를 사용할 경우 변수 위에 마우스 커서를 올려두었을 때 타입을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됩니다. 오늘은 JSDoc으로 JavaScript 주석 다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.
  • TypeScript 타입 정의 파일(.d.ts)2024. 11. 05.
    수성컴전자방입니다. 오늘은 TypeScript 타입 정의 파일(.d.ts)을 알아보겠습니다.
  • 1 2 3 4 5 6 7